※ 본 포스트는 2012년 1월 20일에 네이버 블로그에서 작성되어 2018년 1월 29일에 이사옴. 따라서 현재의 상황과 상이한 부분이 다소 있을 수 있음.
이번 포스트에서는 화면을 쭈우욱 내려서 "종합정보"를 보겠습니다.
위 그림처럼 메뉴의 아래에는 투자자별 매매동향, 뉴스.공시, 종목토론실, 증권사리서치등이 있습니다만 설명이 필요없는 항목들이니 패스하고 바로 기업실적분석으로 들어 가겠습니다.
최근 5년 실적과 최근 4분기 실적을 보면 2010년까지는 GAAP였는데 2011년부터 IFRS인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.
그 이유를 검색 해 보았습니다.
IFRS, GAAP는 회계 기준인데요. 앞으로 IFRS로 다 바뀌는 겁니다. 2011년 부터 자산 2조원 이상의 회사들은 무조건 IFRS를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되고, 점차 GAAP기준은 사라지고 IFRS로 대채 될 것입니다.
손익계산서 : 기업의 경영성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1회계기간에 발생한 모든 수익과 이에 대응하는 모든 비용을 기재하고 그 기간의 순이익을 표시하는 계산서
매출액 : 기업의 주요 영업활동 또는 경상적 활동으로부터 얻는 수익
영업이익 :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고 얻은 매출 총이익에서 다시 일반 관리비와 판매비를 뺀 것. 말 그대로 순수하게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
조정영업이익 : 작년까지는 기업들의 회계보고가 K-GAAP이라는 표준에 맞추어서 발표되었는데, 올해부터는 보다 투명하고 현실적인 회계 원칙인 IFRS(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)라는 표준에 맞추어서 보고됩니다.
K-GAAP 표준 : 영업이익 = 매출액 - 매출원가 - 판매비 - 일반관리비
K-IFRS 표준 : 조정영업이익 = 매출액- 매출원가 - 판매비 - 일반관리비 + 기타수익 - 기타비용
당기순이익 : 기업이 일정기간에 얻은 수익에서 지출한 모든 비용을 공제하고 순수하게 이익으로 남은 몫
지배주주지분 : 지배주주는 법인의 발행주식총수 또는 출자총액의 100분의 1 이상의 주식 또는 지분을 소유한 주주와 출자자로서, 그와 특수관계가 있는 자와의 소유주식 또는 출자지분의 합계가 당해 법인의 주주 또는 출자자 중 가장 많은 경우의 당해 주주 또는 출자자를 말한다.
비지배주주지분 : 패스
영업이익률 : 매출액에 대한 영업이익 비율. 순수하게 영업을 통해서 벌어들인 이익을 말한다.
순이익률 : 순이익을 세후 순매출액으로 나눈 개념. 즉 매출에서 모든 비용과 세금을 공제한 후 소유주에게 남은 부분.
ROE(지배주주) : 일단 "지배주주"는 주주총회에서 의결권행사를 통하여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사항, 즉 경영권을 지배할 수 있는 대주주를 말합니다.
그리고 "ROE"는 자기자본이익률. 경영자가 주주의 자본을 사용해 어느 정도의 이익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죠.
그럼 ROE(지배주주)란?
검색 해 보니 "지배주주ROE"라고 하는군요.
ROE = 순이익 / 자기자본
ROE는 위과 같이 표현될수 있는데 지배주주ROE란 위 식의 자기자본부분을 지배주주가 소유한 자본으로 바꿔서 계산한 것이라고 하네요.
부채비율 :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 중 부채가 어느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. 일반적으로 100%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으나 업종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.
당좌비율 :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. 유동비율의 보조비율로서 기업의 단기채무지급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.
- 당좌자산 : 유동자산 중에서 현금 또는 바로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성질을 가진 자산
- 유동부채 : 기업이 통상 1년 이내에 지불하지 않으면 안 되는 채무.
당좌비율이 1백% 이상이면 부도위험이 크지 않다고 본다. 그런데 당좌비율이 너무 높으면 '수익을 내는 데에 자산을 투자하지 않고 쓸 데 없이 많은 현금을 끌어안고 있다'는 뜻이 되어 그 기업의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.
유보율 : 영업활동이 아닌 특수 거래에서 생긴 이익인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. 이는 기업이 동원할 수 있는 자금량을 측정하는 지표이다.
유보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불황에 대한 적응력이 높고 무상증자 가능성도 높다.
EPS(지배주주) : "네이버 증권 완벽하게 뜯어보기 I"에서 설명하였으니 패스.
BPS(지배주주) : 이것도 "네이버 증권 완벽하게 뜯어보기 I"에서 설명하였으니 패스.
보통주주당배당금 : 1주당 지급되는 (지급되었던!) 배당금.
"기업실적분석"은 여기까지 입니다.
설명이 좀 부실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은 의견 남겨주시면 수정토록 하겠습니다.
다음은 "동일업종비교" 입니다.
전페이지 또는 위에서 다 설명한 사항이므로 패스하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다음에는 "기업분석"을 보도록 하겠습니다.
댓글 영역